인턴 줄거리
영화 《인턴》은 은퇴 후에도 활기찬 삶을 꿈꾸는 한 남성과, 시대의 흐름을 주도하는 젊은 여성 CEO 사이의 특별한 동행을 통해 세대와 성별, 가치관의 차이를 따뜻하게 그려낸 작품입니다. 주인공 벤 휘태커(로버트 드 니로)는 70세의 퇴직자입니다. 아내를 먼저 떠나보내고 혼자가 된 그는 어느 날 지역 커뮤니티에서 ‘시니어 인턴 프로그램’ 채용 공고를 보게 되고, 도전 정신으로 온라인 쇼핑몰 회사 ‘어바웃 더 핏’에 입사 지원을 하게 됩니다.
이 회사는 30대 초반의 젊은 CEO 줄스 오스틴(앤 해서웨이)이 이끄는 패션 스타트업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지만 내적으로는 다양한 문제를 안고 있는 기업입니다. 줄스는 바쁜 일정에 치여 사생활도, 가정도 균형을 잃어가고 있었고, 경영에 대한 압박감 또한 점점 커져가고 있었습니다. 그녀는 처음에 벤을 단순히 “쇼윈도용 인턴”으로 받아들이고, 별다른 기대도 관심도 주지 않지만, 벤은 묵묵히 자기 자리를 지키며 주변 사람들에게 따뜻한 영향력을 퍼뜨립니다.
처음에는 거리감이 있던 줄스와 벤은 함께 시간을 보내며 조금씩 마음을 열게 되고, 점차 벤은 줄스의 조언자이자 든든한 동반자로 자리 잡습니다. 영화는 이들의 관계를 중심으로, 경쟁과 성과 중심의 젊은 세대와 경험과 여유를 가진 노년 세대의 조화를 유쾌하고 따뜻한 시선으로 풀어냅니다. 단순한 직장 생활의 이야기 그 이상으로, 인간관계, 삶의 방향, 일과 가정 사이의 균형에 대한 깊은 울림을 전합니다.
인턴 출연 배우 정보
《인턴》은 연기 내공이 깊은 두 배우 로버트 드 니로와 앤 해서웨이의 만남만으로도 기대를 모은 작품입니다. 벤 휘태커 역을 맡은 로버트 드 니로는 거친 갱스터 이미지로 잘 알려져 있지만, 이번 작품에서는 정반대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점잖고 다정하며, 삶의 경험이 묻어나는 품격 있는 어른의 모습을 섬세하게 연기하며 관객의 마음을 편안하게 만들어줍니다. 그의 연기는 과하지 않으면서도 묵직하고, 때로는 유머러스하고 인간적인 모습으로 세대 간 격차를 따뜻하게 메워줍니다.
줄스 오스틴 역의 앤 해서웨이는 커리어우먼으로서의 강인함과, 동시에 아내이자 엄마로서의 갈등과 불안을 현실감 있게 표현합니다. 그녀는 패션 CEO라는 세련된 외형을 갖추고 있지만, 일과 가정 사이에서 균형을 잃어가는 모습을 통해 현대 여성들이 겪는 이중의 부담을 섬세하게 보여줍니다. 앤 해서웨이 특유의 밝은 에너지와 내면 연기가 어우러져 캐릭터의 입체감을 더하고, 로버트 드 니로와의 세대 차이도 자연스럽게 녹여냅니다.
이외에도 줄스의 남편 역으로 앤드루 랜넬스, 벤과 친해지는 사무실 동료 역의 자크 펄먼, 크리스틴 에버솔 등이 출연해 감초 역할을 톡톡히 합니다. 또한 매력적인 사무실 공간, 젊은 직원들과의 관계, 다양한 세대의 교차는 단순한 로맨틱 코미디 이상의 다층적 감정을 구성하게 만듭니다. 각 인물의 배치는 벤과 줄스의 대비를 더욱 도드라지게 하며, 현대 사회가 안고 있는 직장 문화와 가치관의 다양성을 효과적으로 드러냅니다.
인턴에서 보여주고 싶은 메시지
《인턴》은 세대를 초월한 공감과 존중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영화입니다. 가장 핵심적인 주제는 바로 ‘세대 간의 간극은 서로를 이해하려는 마음에서 좁혀진다’는 점입니다. 벤은 젊은 회사에 들어가 처음엔 소외되지만, 그가 보여주는 정중함, 예의, 책임감, 경청의 태도는 결국 젊은 직원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기고, 줄스에게도 인생의 전환점을 만들어줍니다.
줄스는 현대 사회에서 성공한 커리어우먼이지만, 늘 시간에 쫓기며 외로움과 불안에 시달립니다. 그녀는 남성 중심의 비즈니스 세계에서 살아남기 위해 강해져야 했고, 회사는 커졌지만 관계는 점점 틀어지고 있었습니다. 그때 나타난 벤은 단순히 ‘어른’이 아니라, 그녀가 놓치고 있던 가치와 리듬을 되찾아주는 조력자가 됩니다. 줄스를 향한 그의 조언은 무겁거나 훈계조가 아니라, 인생을 오래 살아본 사람만이 줄 수 있는 잔잔한 통찰로 다가옵니다.
또한 《인턴》은 ‘나이는 숫자에 불과하다’는 메시지를 현실감 있게 보여줍니다. 퇴직자라고 해서 더 이상 사회에서 필요하지 않은 존재가 아니며, 오히려 삶의 지혜와 균형감으로 인해 더 나은 해답을 제시할 수 있는 존재임을 증명합니다. 이는 노년 세대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바꾸는 데도 긍정적인 시선을 제시합니다.
결국 이 영화는 젊은 세대에게는 여유와 존중을, 중장년층에게는 여전히 빛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전하며, 서로 다른 세대가 함께 일하고 살아가는 방식에 대해 잔잔하면서도 묵직한 여운을 남깁니다. 따뜻하지만 가볍지 않은 영화, 《인턴》은 오늘날을 살아가는 우리 모두에게 필요한 위로와 영감을 전합니다.